본문 바로가기

시사/시사뉴스

꿀벌 실종 사건, 사라진 꿀벌들

반응형

 

꿀벌이 사라졌다고??

 

최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양봉농가에서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해 많은 피해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농가 벌통에서 꿀벌들의 흔적조차 찾을 수가 없어 양봉농가들의 근심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전국 양봉협회 소속 농가를 대상으로 꿀벌 실종 피해조사를 한 결과 4천159개 농가의 28만9천45개 벌통에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평균 벌통 하나당 2만 마리의 꿀벌이 양육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최소 77억8천90만 마리 이상의 꿀벌이 사라진 셈입니다.

 

벌통에 동면하고 있어야할 꿀벌들이 자취를 감춘 것인데 경남과 전남, 제주, 충북까지 유사한 현상이 동시다발적으로 지역을 가리지 않고 일어나 국내 양봉 농가에서 꿀벌 무리가 사라졌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꿀벌 집단 실종은 경남과 전남을 거쳐 제주, 전북, 경북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며 보통 월동 과정에서 꿀벌의 개체 수가 줄어들지만 올해는 그 양상이 다르고 남쪽으로 갈수록 심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경북에서는 사육 중인 전체 벌통(15만6천419개)의 절반 가량(47.7%)에서 피해가 발생했으며, 전남의 경우 협회에 등록된 전체 농가(1천831곳)의 74.3%(1천360곳)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원인이 뭘까?

 

농촌진흥청은 이런 사태의 원인을 해충과 말벌, 이상기온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으며 피해 반복을 위해 꿀벌응애(해충) 방제를 당부했습니다.

 

양봉협회에서 조사한 바로는 전체 벌 중 18% 정도가 폐사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했으며 꿀벌이 사라진 가장 큰 이유로는 기후변화와 해충을 꼽았습니다.

 

최근 2년간 우리나라의 2~4월이 평년에 비해 고온이어서 봄꽃들이 조기에 개화해 개화 기간이 짧아졌습니다. 그리고 꿀을 많이 생산해야 되는 시기인 5~6월에는 강우, 강풍, 저온으로 벌들이 제대로 활동을 하지 못해 면역체계가 약해져 병이나 해충에 특별한 대응을 하지 못했습니다.

 

또 응애가 많이 발생하면서 농가에서 다량의 살충제를 사용했고 30년 넘게 사용하면서 꿀벌 발육도 더뎌지면서 꿀벌 응애가 기존 약재에 대해 내성을 가지면서 방제 효과도 떨어졌습니다.

 

뿐만아니라 꿀벌이 발육하는 시기인 9~10월에는 저온 현상으로 꿀벌이 월동에 들어 갔으며 11월~12월에는 날씨가 따뜻해지자 꿀벌들이 나왔다가 이후 추워진 날씨에 벌들이 다시 벌통에 들어가지 못하면서 폐사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환경이 시발점이 되었으며 꿀벌이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변화가 필효한 시점입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100대 농산물 생산량에서 71%가 꿀벌을 매개로 수분을 한다"며 "당장 꿀벌이 없다면 100대 농산물의 생산량이 현재의 29%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한 하버드 공중보건대 연구팀은 꿀벌이 사라질 경우 과일·채소 등 생산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른 식량난과 영양 부족으로 한 해 142만 명 이상이 사망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만 이런걸까?

 

미국에서는 2006년 꿀벌 집단이 갑자기 실종되는 군집붕괴현상이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해충, 농약, 새로운 병원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습니다.

 

이렇듯 미국과 유럽등에서는 2010년대 들어 꿀벌의 30~40%가 사라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사한 현상이 최근 한국에서도 나타난 것입니다.

 

한국에서 양봉업계가 위기감을 느낄 정도로 꿀벌이 사라진 것은 2010년 낭충봉아부패병으로 토종벌 60% 이상이 실종된 이후로 두 번째이며 해외 사례처럼 복합적 원인이 겹친 현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이번 피해를 두고서 우리 정부는 꿀벌응애를 막는 친환경 기술 개발과 드론으로 말벌을 막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며 피해를 입은 양봉업자에게 지원금을 주기로 하였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도 응애 구제제 적정 사용 요령 교육을 확대하고 안전성과 효능이 뛰어난 천연물 유래 응애 구제제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반응형